말에 얽힌 얘기들

예로부터 말을 영특한 동물로 여겨온 탓인지 우리주변에는 말과 관계된 민속이나 민습이 많이 전해져 온다. 우리말에는 말과 관계되는 것이 많다. 낱말도 많고, 속담도 많다. '말[馬]'은 우리의 고유어가 아니다. 이는 몽고어 '모린(morin)'을 차용한 말이다.

가을이 되면 우리는 입버릇처럼 천고마비(天高馬肥)라는 말을 되뇐다. 이는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의 특성을 나타내는 말이다.

인류가 지상에 나타났을 때 말의 조상은 이미 사라지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쪽에 조금 남아 있었는데, 오늘날 가축화된 말의 시조는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던 것이라고 한다. 말이 가축으로 길러진 것은 청동기시대로 알려지고 있다. 중세이후 중요한 교통운송수단인 마차는 동력원을 오직 동물인 말에 의존하는 것이었다

우리 문헌에 말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이다.

신라의 박혁거세 탄생설화를 보면, 백마(白馬)의 울음소리를 듣고 가보니, 백마가 알을 품고 있다가 승천하면서 큰 알을 하나 두고 갔는데, 그 알에서 박혁거세가 태어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밖에도 후백제의 견훤 탄생설화 등 신성한 탄생을 주제로 한 설화에는 백마가 곧잘 등장한다. 여기서 말은 지상과 천상을 이어주는 신령스러운 교촌자 역할을 맡고 있다.

말은 십이지 동물 가운데 조류인 닭과 상상의 동물인 용과 함께 하늘을 날 수 있는 신성한 서수(瑞獸)로 그려졌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신라 고분인 천마총 벽화이다. 벽화의 주인공은 날개 달린 천마(天馬)다. 천마는 지상에서 이룰 수 없는 희구(希求)를 담고 있다. 천마는 하늘의 옥황상제가 타고 다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지상의 말에 날개를 달아 천상을 날게 한 상상은 우리 민족의 말에 대한 신앙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소나 돼지, 심지어 개고기까지 먹으면서도 말고기는 먹지 않았으며, 말이 죽으면 따로 무덤까지 만들어 주었다. 경기도 파주 윤관 장군 묘역을 비롯하여 전국 여러 곳에 말 무덤이 있다.

우리의 민속놀이인 윷놀이에서도 말은 으뜸이다. 도는 돼지, 개는 개, 윷은 소를 상징하고, 가장 점수가 많은 모는 말을 상징한다. 즉 단순한 뜀박질이 아니라 말은 힘과 능력을 의미한다. 그래서 옛날 사대부 집안에서는 자손들의 출세가도를 위해 높은 기상과 청정함을 상징하는 백말 그림을 걸어놓았다. 부부의 인연을 맺는 혼례에서도 말은 빠질 수 없는 동물이다.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에도 혼례를 치르는 신랑이 백말을 타고 신부집으로 가고 있다. 정조가 한 가난한 신랑이 돈이 없어 혼례를 못 치르는 딱한 사정을 알고 말 한 필을 하사하여 혼례시켰다는 이야기도 같은 맥락이다.

말은 또한 신의(信義)의 상징이다. 즉 나라 사이의 공물에서 빠진 적이 없는데, 두 나라 사이의 신의의 상징이었던 것이다. 단군왕검의 아들이 중국의 우왕에게 홍수를 다스리는 법을 전수할 때에도 그 신의를 저버리지 않겠다는 맹세로 우왕이 백마 피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고전 《홍길동》에도 도적들이 홍길동을 우두머리로 받드는 과정에서 백마 피를 올려 충성을 맹세하는 대목이 나온다.

이렇듯 동물 중에 말을 상수(上水)로 치는 것은 우리 민족의 말에 대한 신앙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토속신앙인 무당의 굿거리에는 군마대왕(軍馬大王)이 등장하는데, 이는 곧 힘을 다스리는 무신(武神)이다. 그래서 당골들은 제단에 짚이나 나무로 말 모양을 만들어 올려놓고 있다. 그런가 하면, 말은 서낭신이 타고 다니는 승용차이며, 호랑이를 퇴치하는 사냥마이기도 했다.

새해 들어 첫 오일(午日)을 '말의 날'이라 하여 말에게 일을 시키지 않고 좋은 음식으로 대접하였다. 상오일에는 장을 담그면 좋다고 했다.

날쌔고 용감하고 전쟁 때는 훌륭한 병기로, 평시에는 농사일로 사람과 친하게 지내온 의기양양한 (진취성) 모습에 매우 신성한 동물로 상징되어 왔다. 청동기 시대에 제작된 청동제 마형대구, 고구려 벽화의 수렵도와 신라의 천마총의 신마도 등 말을 소재로 한 많은 부장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말과 우리 민족과의 관계는 아주 오래 되었고, 밀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백말이 꿈 속에 보이면 서낭이라 하여 상서로움을 나타낸다고 믿는다. 그리고 액운이나, 귀신을 물리치는 것으로 말이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수호신적인 성격으로 전국 각처의 서낭당에는 이러한 마신앙의 형태가 있음을 여러 보고서나 논문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신화 속에서 살펴본 사정으로 미루어 상서롭고 신이한 동물로서 숭앙의 대상으로 점차 그 영험성이 확대되어 민간신앙까지 자리하게 된 까닭일 것이다. 신화의 시대나 전설의 시대를 거쳐 말에 대한 개념이 일반에게까지 확대될 수 있었던 까닭은 말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것이다.

이는 마정(馬政)이 벌써 신라시대 때 있었음을 알게 해 주는 여러 기록에서 알 수 있다. 이는 군사용 이외에도 교통 및 외교와 관련한 말의 이용이 커지게 됨에 따라서 마정의 발달을 가져온 것이리라. 또한 고려시대에는 마정조직 자체가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 말을 관장하는 관아가 설치되어 운영되었고 말과 관련된 여러 벼슬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시대의 마정조직을 답습하여 실시하다가 수차례에 걸친 개혁과 <경국대전>의 완성으로 조선 마정조직을 정비하기에 이르렀다. 이렇듯이 말과 관련된 마정의 비중이 지대하였음으로 인하여 국가에서도 말의 조상인 용마를 위해 봄마다 제사 지내던 마조단(馬祖檀)과 마필관리인을 위한 선목단(先牧檀)을 설치하여 매년 여름에 제사를 지냈다. 또한 승마인을 위해 마사단(馬社檀)을 설치하여 매년 가을에 제사 지냈고, 말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고 말에게 해를 끼치는 신을 위해 마보단(馬步檀)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정은 관주도의 말과 관련한 제의의 내용과 의미는 다소의 차이를 보이지만 이러한 교섭을 통하여 민간의 부락에까지 확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서낭당에는 적게는 1개에서 많기는 10여 개의 철마, 목마, 토마, 사기마, 석마 등이 신앙된다. 대체로 이러한 말들은 서낭당 안에 모셔져 있는데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서, 서낭신이 타고 다니는 말로써, 마을의 질병을 퇴치하는 말, 등으로서 상징된다. 전남 진도의 천마, 완도의 금일면 유서리 서성마을의 철마, 전남 여천군 화정면 개도리 화산마을, 남면의 횡간리, 전남 고흥군 나조도 신금리.나조도 예당마을, 영광군 낙월면 안면도,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 강원도 정성군 임계면, 강원도 평창군 일대, 필자의 조사에 의하면 강원도 삼척군 천기리.신기리.활기리, 강릉시 명주군 퇴곡리, 유등리 등지에서 조사되었다. 그리고 지리산에 있는 성모사, 경북 영양군 가곡동 서낭당의 국시말, 충남 서산군 부석면 창리의 쇠말, 안면도 우포의 쇠말전설, 충남 보령군 오천면 진촌당제리 철제마상 등을 찾아 볼 수 있다.


사주, 궁합, 가정문제, 상호, 작명, 택일, 매매, 사업운, 직업, 학업진로, 자녀상담, 건강
                                              지윤철학원 213-739-2877. 070-7883-0708

상담신청 방법, 미국 및 해외지역           상담신청 방법, 한국